gmjiansun 님의 블로그

과학 비하인드 이야기.

  • 2025. 8. 20.

    by. gmjiansun

    목차

      수메르의 여성 과학자 엔헤두 안나

      고대 수메르 문명을 빛낸 여성 지성

       

      엔헤두 안나는 기원전 23세기경 메소포타미아 남부 수메르 지역의 도시국가 우르에서 활동한 여성으로, 세계 최초로 기록된 여성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입니다. 그녀는 아카드 제국의 창시자 사르곤 대왕의 딸로, 정치적 권력과 종교적 권위를 동시에 지닌 인물이었습니다. 당시 수메르 사회에서 여성은 대부분 가정과 종교 의례에 국한된 역할을 수행했지만, 엔헤두 안나는 이를 뛰어넘어 학문과 과학, 문학, 정치의 중심에 섰습니다. 그녀는 ‘엔(En)’이라는 고위 사제직을 맡아 달의 신 난나(Nanna)를 섬겼으며, 이를 통해 천문학적 지식을 축적하고 달의 주기와 계절 변화에 관한 기록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농경과 종교 의례의 정확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특히 그녀의 지위는 단순한 사제가 아닌 ‘제국의 학문 관리자’로서, 왕과 도시국가 간의 권력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천문학과 종교가 융합된 지식 체계

       

      엔헤두 안나의 천문학은 현대의 과학적 관측과는 달랐지만, 당시로서는 매우 정밀하고 체계적이었습니다. 그녀는 달의 위상 변화, 별자리 이동, 계절별 일출·일몰 시각을 관찰하고 이를 수메르의 종교의식과 농업 달력에 반영했습니다. 고대 메소포타미아 사회에서 천문학은 단순한 학문이 아니라 국가 운영과 직결된 중요한 지식 체계였으며, 그녀는 이를 가장 능숙하게 다룰 수 있는 인물로 평가받았습니다. 또한, 그녀의 관측은 신전의 건축 배치와 제례 시기의 결정에도 활용되었습니다. 이는 고대 과학이 종교, 건축, 행정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더 나아가 그녀의 기록은 후대 바빌로니아와 아시리아 문명에서 천문관측법의 표준이 되었으며, 이는 약 1,000년 이상 이어진 고대 근동 지역의 학문적 전통 형성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습니다.

       

      수학적 계산과 기록 문화의 발전

       

      엔헤두 안나는 천문 관측뿐 아니라 수학적 계산에도 능했습니다. 그녀는 수메르의 60진법을 활용하여 달력의 주기, 제사의 날짜, 농경 주기 등을 계산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수 세기가 아니라, 장기적인 농업 계획과 왕국의 행정 관리에 필요한 고도의 수학적 응용이었습니다. 특히 그녀의 기록 방식은 점토판에 설형문자로 새겨졌으며, 이 기록은 후대에 메소포타미아의 수학과 천문학이 발전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설형문자는 숫자와 기호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 복잡한 계산과 날짜 표기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엔헤두 안나의 계산 기록은 오늘날 고고학자들에게 당시 경제 활동, 세금 제도, 농업 생산량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최초의 서정시인, 그리고 과학자

       

      엔헤두 안나는 과학자이자 수학자일 뿐 아니라, 세계 최초로 이름이 알려진 작가로도 기록됩니다. 그녀는 ‘이난나 찬가(Inanna’s Hymns)’라는 종교 시집을 남겼는데, 이 작품은 단순한 종교시를 넘어 당시 사회 구조, 인간과 신의 관계, 자연 현상에 대한 철학적 성찰을 담고 있습니다. 천문학자이자 시인이라는 그녀의 정체성은, 고대 문명이 과학과 예술을 분리하지 않았음을 잘 보여줍니다. 그녀의 시는 신과 인간의 소통 수단이자,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도구로도 사용되었습니다. 일부 학자들은 그녀의 문학이 아카드 제국의 문화 통합 정책에 기여했다고 평가하며, 이는 학문과 정치, 문학이 결합된 고대 지식인의 전형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그녀의 의미

       

      엔헤두 안나의 생애와 업적은 단순히 ‘최초의 여성 과학자’라는 타이틀을 넘어섭니다. 그녀는 여성도 지식과 권력을 갖출 수 있음을 증명했으며, 과학·수학·문학을 융합한 다학제적 연구의 시초가 되었습니다. 그녀가 남긴 점토판 기록과 시문은 오늘날 고고학과 고대사 연구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그녀의 천문 기록은 현대 학자들에게 당시의 별자리 배열과 기후 변화를 추정하는 데 귀중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또한, 엔헤두 안나는 여성 학자의 역사가 근대 이전에도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인물로, 오늘날 STEM 분야에서 성평등과 여성의 역할 확대를 논의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사례입니다.